관심사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PHEV: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erudi 2025. 4. 2. 16:15

전기자동차가 굉장히 핫해졌는데요. 전기 자동차와 엔진을 사용하는 자동차 중간 단계로 하이브리드 자동차중 하나에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HEV)는요, 기름으로 가는 엔진이랑 전기로 가는 모터를 같이 쓰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한 종류예요. 일반 하이브리드 자동차(HEV)랑 가장 다른 점은 밖에서 전기를 꽂아서 배터리를 직접 충전할 수 있다는 점이에요.

 

출처 : https://www.hyundai.co.kr/story/CONT0000000000001141

 

주요 특징이랑 작동 방식은 이렇답니다:

  1. 배터리가 더 커요: 일반 하이브리드차보다 훨씬 용량이 큰 배터리를 가지고 있어요.
  2. 충전기로 충전할 수 있어요: 전기차(EV)처럼 충전 플러그를 써서 집 전기나 충전소에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어요.
  3. 전기로만 갈 수 있어요 (EV 모드): 충전된 배터리 힘만으로 일정 거리(보통 30km ~ 80km 정도, 차마다 달라요)는 전기차처럼 조용하게, 매연 없이 갈 수 있어요. 이 정도면 보통 가까운 거리 다니거나 출퇴근하기에 충분할 때가 많아요.
  4. 같이 힘을 내요 (하이브리드 모드): 배터리가 닳거나, 힘이 더 필요할 때(갑자기 속도를 내거나 오르막길 갈 때 등)는 엔진이 켜져서 전기 모터랑 같이 움직여요. 이때는 일반 하이브리드차처럼 엔진이랑 모터 힘을 알아서 잘 섞어 쓰고요, 엔진이 돌 때 배터리를 조금씩 충전하기도 해요.
  5. 엔진으로만 가기도 해요: 멀리 가느라 배터리를 다 쓰면 주로 엔진 힘으로 달려요.
  6. 버려지는 에너지도 아껴 써요 (회생 제동): 속도를 줄이거나 브레이크를 밟을 때 생기는 에너지로 배터리를 다시 충전하는 기능도 있어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의 좋은 점:

  1. 기름값 아끼고 환경에도 좋아요: 짧은 거리는 전기로만 가니까 기름값을 많이 아낄 수 있고요, 배기가스를 줄여서 환경에도 더 좋아요. (물론, 충전을 자주 해야 효과가 커요!)
  2. 주행 거리 걱정이 덜해요: 전기차는 충전소가 부족하거나 충전 시간이 오래 걸리고, 얼마나 갈 수 있을지 불안할 때가 있잖아요? PHEV는 그런 걱정이 없어요. 전기가 다 닳아도 기름 넣고 계속 가면 되니까요.
  3. 조용하고 편안해요: EV 모드로 달릴 땐 전기차처럼 아주 조용하고 흔들림도 적어서 타는 느낌이 쾌적해요.
  4. 세금 혜택이나 보조금도 있어요: 나라나 지역에 따라 차 살 때 보조금을 주거나 세금을 깎아주는 혜택이 있을 수 있어요. (요즘엔 조금씩 줄어드는 추세긴 해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의 아쉬운 점:

  1. 처음 살 때 좀 비싸요: 일반 기름차나 하이브리드차보다는 처음 차 값이 더 비싼 편이에요.
  2. 충전이 좀 귀찮을 수 있어요: 전기 모드의 장점을 제대로 누리려면 자주 충전해 줘야 해요. 충전할 곳이 마땅치 않으면 장점을 살리기 어려워요.
  3. 차 구조가 복잡하고 무거워요: 엔진, 모터, 큰 배터리까지 다 들어가서 구조가 좀 복잡하고 차가 무거워져요. 그래서 배터리가 방전된 상태에서 엔진으로만 달릴 때는 비슷한 크기의 기름차보다 오히려 기름을 더 먹을 수도 있어요.
  4. 전기로만 갈 수 있는 거리가 길진 않아요: 순수 전기차보다는 전기로만 갈 수 있는 거리가 짧아요.
  5. 짐 싣는 공간이 좁아질 수 있어요: 배터리가 자리를 차지해서 트렁크 같은 짐 싣는 공간이 일반 모델보다 좁아질 수도 있어요.

어떤 분들에게 잘 맞을까요?

  • 주로 다니는 거리가 왕복 20~40km 정도로 짧은 출퇴근이나 일상 주행이 많은 분들
  • 집이나 회사처럼 편하게 충전할 수 있는 곳이 있는 분들
  • 가끔은 멀리 갈 일도 있어서 순수 전기차는 좀 부담스러운 분들
  • 기름값 아끼고 환경 보호에도 관심 많은 분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기름차에서 순수 전기차로 넘어가는 중간 단계에서 꽤 괜찮은 선택지가 될 수 있는 매력적인 차예요. 본인의 운전 습관이나 충전할 수 있는 환경을 잘 생각해보고 고르시는 게 중요해요!

 

 

일반 하이브리드 VS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이야기가 나왔는데 일반 하이브리드와 뭐가 다르지? 라고 궁금해할 수 있어서 비교해봤어요.

어떤 점이 다르고, 각각 어떤 특징이 있는지 쉽게 아실 수 있을 거예요.

가장 큰 차이점은 '외부 충전'이 가능하냐 아니냐예요.

 

구분 일반 하이브리드 (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PHEV)
핵심 특징 엔진 + 모터 (내부 충전만 가능) 엔진 + 모터 + 외부 충전 가능
배터리 충전 방식 스스로 충전해요.<br/>- 엔진 동력<br/>- 감속/제동 시 에너지 회수 (회생제동) 외부 전기로 직접 충전 가능해요.<br/>- 집, 충전소 등에서 플러그 꽂아 충전<br/>- HEV처럼 스스로 충전도 해요.
배터리 용량 작은 편이에요. HEV보다 훨씬 큰 편이에요.
전기 모드(EV) 주행 거의 불가능하거나 매우 짧아요.<br/>(저속, 정속 주행 시 잠깐 가능) 가능해요!<br/>(완충 시 보통 30km ~ 80km 내외 주행 가능, 모델별 상이)
주요 목적 엔진을 보조하여 연비 향상에 초점 단거리 전기차처럼, 장거리 하이브리드처럼 주행
연비/연료 절감 내연기관차보다 항상 좋아요. 충전을 자주 할수록 HEV보다  좋아요.<br/>(충전 안 하면 HEV보다 안 좋을 수도 있어요)
차량 가격 PHEV보다는 저렴한 편이에요. HEV보다는 비싼 편이에요.
충전 필요성 전혀 필요 없어요. (주유만 하면 돼요) 필수적이에요. (장점을 살리려면)<br/>충전 안 해도 주행은 가능해요.
장점 요약 - 충전 스트레스 없음<br/>- 꾸준한 연비 절감<br/>- 비교적 저렴 - 전기차 수준의 단거리 주행 가능 (유류비 절약)<br/>- 정숙성 뛰어남<br/>- 주행거리 불안 없음
단점 요약 - 전기차 같은 주행 경험 제한적<br/>- 연비 절감 폭이 PHEV보다 작을 수 있음 - 주기적인 충전 필요<br/>- 높은 초기 비용<br/>- 충전 안 할 시 효율 저하 가능성
추천 대상 - 충전 환경이 없거나 귀찮은 분<br/>- 꾸준히 연비 좋은 차를 원하는 분 - 집/회사 등 충전 환경이 좋은 분<br/>- 단거리 출퇴근 위주, 가끔 장거리 운행하는 분

간단히 요약하면?

  • 일반 하이브리드 (HEV): 그냥 기름 넣고 타면 알아서 전기를 만들고 써서 연비를 높여주는, 신경 쓸 필요 없는 편리한 차예요.
  •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PHEV): 충전만 잘 해주면 가까운 거리는 전기차처럼 기름 안 쓰고 조용히 다닐 수 있고, 멀리 갈 땐 하이브리드로 변신하는 다재다능한 차예요. 대신 충전이라는 '숙제'가 있어요.

개인적으로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차량을 사용중인데, 초기모델이라 여름에 에어컨 구동을 할 때 압축기를 전기모터 또는 엔진으로 구동시키는 설계 문제로 에어컨용 압축기가 자주 고장나는 문제가 있어요. 하지만, 요즘 나오는 차들은 그런 문제들이 다 개선되었을것 같네요. 역시 뭐든지 나오자마자 구입하는 것은 베타테스터라는 T.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