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금피크제, 연봉 4,000만 원이면 이렇게 달라져요

2025. 6. 4. 14:31카테고리 없음

728x90
반응형

 

저는 이미 퇴직해서 관련이 없지만

직장생활을 하다 보면 어느 순간 ‘임금피크제’라는 말을 듣게 되죠.
하지만 정작 나한테 적용되면 실제 월급이 얼마나 줄어들지 궁금하셨을 거예요.

오늘은 연봉 4,000만 원 기준으로 매년 5%씩 감소하는 임금피크제
실수령액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겠습니다.


🔎 임금피크제란?

임금피크제는 일정 나이가 되면 연봉을 점차 줄이는 대신, 정년까지 고용을 보장하는 제도예요.
보통 55세 전후부터 적용되고, 정년까지 직장을 안정적으로 이어가게 해주는 구조죠.

이 제도는 고령자의 고용 안정, 청년 일자리 확대라는 사회적 목적도 함께 가지고 있어요.


📉 임금피크제 적용 방식

구분설명
정년보장형 일정 연령 이후 임금을 줄이고, 정년까지 고용 유지
재고용형 정년 후 계약직으로 낮은 임금 재고용
선택형 본인이 선택해 임금 삭감과 정년 연장을 맞바꿈
 

기업마다 방식은 다르지만, 임금은 줄고 고용은 유지된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 연봉 4,000만 원 → 매년 5%씩 줄어든다면?

임금피크제가 적용돼 매년 5%씩 연봉이 줄어들 경우,
실수령액이 어떻게 바뀌는지 한눈에 확인해보세요.
(기준: 독신, 4대 보험 포함, 비과세 없음)

근속연수연봉세전 월급실수령액 (예상)
1년 차 40,000,000원 3,333,333원 약 2,950,000원
2년 차 38,000,000원 3,166,667원 약 2,800,000원
3년 차 36,100,000원 3,008,333원 약 2,660,000원
4년 차 34,295,000원 2,857,917원 약 2,530,000원
5년 차 32,580,250원 2,715,021원 약 2,400,000원
 

📌 5년 동안 실수령 기준 월급 약 550,000원 감소
📉 연봉은 700만 원 넘게 줄어들어요


✅ 장단점 한눈에 보기

👍 장점👎 단점
고용 안정성 보장 실질 소득 감소
정년까지 근무 가능 업무 동기 저하 우려
청년 고용 확대 기여 성과와 무관한 임금 감축
 

✍️ 마무리하며

임금피크제는 처음엔 부담스럽게 느껴질 수 있지만,
직장 생활을 안정적으로 마무리할 수 있는 하나의 장치가 되기도 합니다.

연봉 4,000만 원 수준이라면 매년 월급이 수십만 원씩 줄어드는 것을 체감할 수 있기 때문에
재무 계획이나 노후 준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죠.

자신의 커리어와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선택이 중요한 시기,
임금피크제도 미리 체크해두면 좋겠죠?

그래도 아쉽긴하네요 T.T

728x90
반응형